아래는 Navman의 iCN 510/520 을 위한 커스텀 롬 제작 및 플래싱 방법입니다. 확인해보지 않았으나, Mio 브랜드 제품도 유사한 하드웨어 구조 및 부트로더를 사용하는 관계로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. 이를 응용하면, 해당 기기에서 맵피와 같은 국내 어플리케이션을 소프트리셋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(나만의 첫화면, 기본 로케일 변경, 한글 폰트 내장 등).
I. 롬 덤프
준비물: 본체, USB 케이블, 32MB 이상의 SD/MMC 카드, 덤프 관련 유틸리티.
-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 한 뒤, 압축을 풉니다.
- romdumptoCF.exe를 기기의 \My Flash Disk\Backup으로 옮깁니다.
(XP의 경우 ActiveSync, Vista 이상의 경우 WMDC; Windows Mobile Device Center를 이용)
- \My Flash Disk\Backup에 위치한 AppStartupSec.exe를 다른 이름으로 바꿔줍니다.
- romdumptoCF.exe의 이름을 AppStartupSec.exe로 바꿔줍니다.
- 본체 뒷면의 스위치(ON -> OFF -> ON)를 이용하여 하드리셋을 합니다.
- 하얀색 배경의 창(Use the File Menu !)이 표시되면, SD/MMC 카드를 넣습니다.
- 메뉴의 File - Dump Rom - OK 순서대로 클릭합니다.
- SD/MMC 카드에 따라 다르나, 약 1분 경과후 완료 메세지와 함께 롬 덤프가 완료됩니다.
(메모리 카드 루트에 dump.rom 파일 생성. 파일 사이즈는 정확히 32MB.)
II. 커스터마이징
준비물: 과정 I에서 덤프한 파일, 롬에 넣고자 하는 파일들, dumpromx.
-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 후, dump.rom 파일이 있는 같은 폴더에 압축 해제합니다.
- shell(시작 - cmd 또는 압축파일의 shell.lnk)을 실행한 뒤, 위의 경로에서 dumpromx [ENTER]
DUMPROMX v1.06 - ROM analysing tool for extracting/adding files
Usage: dumpromx [options] imagefile [offset [imagefile offset ...]]
-f <fileout> - get info about (or extract if -d specified) only this file
-a <filein> - add this file (or replace fileout if -f specified), can be modules
-a <dirin> - add all files in 'dirin' folder to rom
-d <dirpath> - save found files/modules to this path
-v - verbose : print alignment, struct contents
-q - quiet : don't print anything
-n - don't use negative rva fix
-u <ofs>L<len>:desc - add user defined memory regions to complete image
-x <offset> - process XIP chain at offset
-i <offset> - specifiy image start offset
-3 - use wince3.x decompression
-4 - use wince4.x decompression [ default ]
-5 - use wince4.x decompress, and e32rom for wm2005
- 위의 내용이 표시됨. 덤프한 롬으로부터 파일을 추출하고 싶을 경우, dumpromx -d <대상 폴더명> dump.rom [ENTER]
<대상 폴더명>에 추출한 파일이 저장됩니다.
- 하나의 커스텀 파일을 롬에 포함하고 싶은 경우, dumpromx -a <동일 폴더상의 파일명> dump.rom [ENTER]
<동일 폴더상의 파일명>.nb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롬이 저장됩니다.
- 여러개의 파일을 롬에 포함하고 싶은 경우, dumpromx -a <동일 폴더상의 폴더명> dump.rom [ENTER]
<동일 폴더상의 폴더명>.nb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롬이 저장됩니다.
- 하위폴더는 지원하지 않으며, 추가된 모든 파일은 장치의 \Windows\ 경로상에 위치합니다.
wince.nls와 같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파일은 독립적으로 추가하기를 추천합니다.
- 기본 레지스트리 변경은 (툴의 불안정으로 인해) 추천하지 않으나, 변경해야 할 일이 있을 경우는 압축 파일에 포함된 fdf2reg.pl, reg2fdf.pl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 이 유틸리티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perl 스크립트 해석기를 사용하세요.
III. 커스텀 롬 플래싱
준비물: 본체, 32MB 이상의 SD/MMC 카드, 과정 II에서 제작한 커스텀 롬.
- 과정 II에서 제작한 커스텀 롬 파일의 용량(32MB)을 확인한 뒤, 파일의 이름을 WinCEIMG.bin으로 바꿔줍니다.
- SD/MMC 카드의 루트(\)로 복사한 뒤, 카드를 본체에 장착합니다.
- 본체 뒷면의 스위치(ON ->OFF)를 이용하여 하드리셋을 합니다.
- 본체 앞면의 조그버튼을 누른 상태에서, 본체 뒷면의 스위치(OFF -> ON)를 이용하여 롬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합니다.
(다음과 같은 형태의 메뉴가 표시됨)
Upgrade Tool VX.X
0=WinCE Image(USB)
1=WinCE Image(SD/MMC)
2=UBoot Image(USB)
3=UBoot Image(SD/MMC)
...
6=Memory Test
...
Choice: 0
- 조그버튼을 이용하여 WinCE, SD/MMC를 선택한 뒤, 과정에 따라 진행합니다.
-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으면 한번 더 하드리셋을 한 뒤 정상적인 부팅이 되는지 확인합니다.
(여기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경우, 과정 II로 다시 돌아가서 시스템 파일이나 크기가 큰 파일에 대한 수정 필요)